본문 바로가기
  • 품질이 골아픈 직장인 이야기
ISO9001,14001 주요항목/1. 기획

조직 및 업무분장 - 조직별 업무 분장표

by 품질공부 2024. 4. 18.
728x90
반응형
SMALL
조직단위 직 무 분 장 비 고
전부문 공통 * 품질목표 및 방침의 이해. * 부적합품 발생시 시정 및 예방조치. 수검.  
* 해당부 및 사업계획서 수립,실시. * 기록의 파일링.  
* 팀별조직도 및 업무분장실시. * 기록보관, 보존관리대장 유지.  
* 문서관리대장 유지. * 기록의 폐기.  
* 관련부와 의사 소통 * 해당 통계적 기법활용.  
* 구문서(규정, 도면, 작업표준 등)의 식별관리 * 지속적 개선활동(사업계획서, 시정 및 예방조치).  
* 부적합품의식별 및 격리. * 3정 5S 실시.  
* 내부심사    
     
품질관리부 * 문서관리 주관. * 지속적 개선활동의 추진  
* 화일링 주관.    
* 조직 및 업무분장    
* 전사 교육훈련 주관.    
* 의사소통 운영관리    
     
* 특허 관련 업무  * 사업계획수립 및 검토관리.  
* 고객의 기술적 요구사항 검토 및 관리 * 승인원 및 양산자료 작성 및 배포  
* 제품 개발 계획 수립 및 제품개발 * 설계 변경 검토  
* 신규 제품, 설비 및 공정의 환경영향평가 주관 * 기술정보 수집 및 관리  
* 단계별 설계 검토 및 검증    
* 시제품 제작 및 시험    
     
* 수입/공정/최종검사 주관. * 품질개선활동주관 품질매뉴얼 및 방침,목표작성.  
* 생산중 신뢰성(성능/기능)시험계획 수립및실시. * 내부품질심사 주관.  
* 재작업 및 특채 승인. * 자격부여(검사원, 내부픔질감사원, 품질검사원, 특별공정)  
* 부적합제품판정. * 사내표준등록 및 배포관리.  
* 검사기준서작성 및 검토. * 추적성(LOT 관리)자재선정.  
* 고객불만 및 공정불량율 집계. * 경영자검토자료 작성 및 주관(사업계획서,지속적개선활동).  
* 생산결과의 요구사항 점검  * 시정및예방조치 주관.  
* 외부공급자 평가지원. * 4M 변경관리 주관.  
* 반송품분석 주관. * 외부공급자 품질승인 업무주관.  
     
생산부 * 생산계획 수립 * 설비점검.  
* 생산지시 및 생산 일지 작성. * 예방보전.  
* 생산현황 집계 (생산 진척도, 작업불량 등 지속적 개선대상). * 치공구 관리(관리대장 유지).  
* 공정관리(관리도, 공정능력 파악). * 자재의 Lot No, 공정중 Lot No 의 생산일지 기재로 추적성 관리.  
* 생산준비 상황점검 실시. * 자재, 단품, 반제품, 제품의 식별관리.  
* 현장설비 소프트웨어 점검. * 부적합품의 식별/격리.  
* 현장설비 하드웨어 점검. * 부적합품의 관리대장 유지.  
* 작업표준 준수 * 자주검사 실시.  
* 생산장비관리 및 사용, 수리이력카드 기록. * 작업현황대장 및 공사이력카드 유지.  
* 부적합 제품발생시 시정활동. * 작업자 교육훈련 실시.  
* 현장 3정5S 실시. * 긴급시 대책수립 (설비 및 장비이상,작업자 결근등)  
* 생산능력에 대한 계약검토 실시.    
영업/자재부 * 개발의뢰서 접수. * 주문관리(발주서 접수대장).  
* 신제품개발계획수립 및 진도관리. * 특별사양 및 긴급주문시 계약검토(관련부 통보)  
* 고객반송품접수 및 이관. * 주문변경시 관련부통보.  
* 고객불만관리. * 도면 등록 관리 및 발송, 배포, 회수 관리  
* 판매계획수립(주/월/년간) * 긴급출하관리.  
* 납품주관. * A/S부품 공급주관.  
* 납품일정관리. * 수금관리.  
* 납기율집계 분석 및 시정조치. * 단종업무 주관.  
* 고객자료의 관리대장 유지.    
영업/자재부
 (구매담당)
* 외부공급자 선정, 승인 및 사후관리. * 자재의 취급,보관,보존.  
* 자재수불부 작성 * 자재 재고회전율 관리.  
* 원 , 부자재 기준재고설정. * 사급자재 입고관리.  
* 외부공급품 발주. * 포장용기 규격관리(외주).  
* 외부공급품품 납품일정관리. * 긴급 납품관리.  
* 외부공급품품 납기율 집계분석 및 시정조치. * 긴급시 대응계획 수립(자재 및 외주업체 결품).  
* 외부공급품자료 협력업체배포(사양,도면 등).    
* 외부공급품계약체결.    
* 외부공급품 시방서 관리.    
안전관리팀
 (환경,안전)
* 안전 및 환경관리. * 환경문제 부적합 발생 방지를 위한 조치  
* 법규 및 그밖의 요건 준수활동  * 팀별 환경관련 사업계획의 목표 및 세부목표 수립   
  * 환경영향 최소화 운영관리  
  * 비상사태 조치표준 운영관리  
  * 환경영향평가 운영관리  
     
728x90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