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면 거칠기의 지시와 다듬질 기호 관련 내용입니다.
표면 거칠기, 표면 기호, 다듬질 기호 관련 내용들을 알아봅니다.
표면 거칠기와 다듬질 기호
(1) 표면 거칠기
① 가공된 금속 표면에 생기는 주기가 짧고, 진폭이 비교적 작은 불규칙한 요철(凹 凸)의 크기를 말합니다.
② 거칠기 표기 방법의 종류로는 최대 높이(Rmax), 10점 평균 거칠기(Rz), 중심선 평균 거칠기(Ra)가 있으며 각각 산술 평균값으로 나타냅니다.
③ 표면에 기복의 차이는 미크론(μm) 단위를 사용합니다.
(2) 표면 기호
① 표면 거칠기 표시 방법은 표면 기호 및 다듬질 기호에 의한 방법이 있습니다.
② 표면 기호는 표면 거칠기의 구분 값, 기준 길이의 컷오프 값, 가공 방법의 약호 및 가공 모양의 기호로 되어 있습니다.
③ 구분값의 하한 수치 및 그 기준 길이는 필요한 경우만 기입합니다.
④ 기준 길이, 가공 방법의 약호, 가공 모양의 기호가 필요 없을 때에는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
(3) 다듬질 기호
① 다듬질 기호는 삼각 기호 및 파형 기호가 있습니다.
② 삼각 기호는 표면에 다름질 가공을 하는 면에, 파형 기호는 표면 가공을 하지 않는 면에 사용합니다.
③ 삼각 기호의 높이 3mm를 표준으로 정삼각형을 거꾸로 한 모양으로 형판이나 프리핸드로 그리며 파형 기호도 프리핸드로 그립니다.
④ 다듬질 정도를 나타내는 데는 S기호(1/100mm 기폭의 차이)를 사용하는데, 예를 들면 25-S와 같이 기입할 때, 이 뜻은 25μm 이하의 다듬질 정도로서 최대 높이가 25 ×0.001mm 이하라는 뜻입니다.
⑤ 파형 기호는 주조, 단조, 압연, 인발, 아이캐스팅, 전조 등의 면에 대해서는 기호를 기입하거나 또는 생략하고 샌드 블라스팅을 한 주물 표면이나 텀블링한 면에는 파형 기호를 기입합니다.
즉, 다듬질기호는 표면거칠기의 정밀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국산업규격(KS)에서는 정삼각형을 기호로 사용합니다. ▽은 거친 다듬질, ▽▽은 중 다듬질, ▽▽▽은 상 다듬질, ▽▽▽▽은 초정밀 다듬질을 나타냅니다. 특히 기계가공을 하지 않은 곳에는 파형 기호(~)를 사용합니다. 대략의 다듬질 정밀도를 표시하는 데는 삼각 기호만으로 충분하지만 표면 거칠기 기호(S)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즉, ▽▽(12-S)처럼 표시하며, 12-S란 거칠기의 범위가 12μ 이하라는 뜻입니다.
다듬질 기호는 현재 일본 등 일부 나라에서만 사용하고 있으며 국제 표준 ISO 규격에는 규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KS 규격에서는 부속서 형식으로 남아있으며 다듬질 기호보다 면의 지시 기호를 따를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4) 다듬질 기호(삼각 기호) 및 표면 거칠기 기호에 의한 기입 예
아래의 부품도면을 보면 우측은 삼각 기호로 좌측은 w, x, y, z 기호로 지시해 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삼각형기호가 1개이면 w, 2개이면 x, 3개이면 y, 4개이면 z 정도로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
연삭의 경우는 삼각기호 3개에 위에 G라고 서주기도 하는데 연삭은 y나 z(z 정도면 호닝, 폴리싱 등)입니다.
(5) 산술평균 거칠기(Ra)의 거칠기 값과 적용 예
일반적으로 사용이 되고 있는 산술평균거칠기(R a)의 적용 예를 아래에 나타내었습니다. 산술평균 거칠기(Ra)의 값에 따라서 최종 완성 다듬질 면의 정밀도가 달라지며 거칠기(Ra) 값이 적을수록 보다 정밀한 다듬질 면을 요구하는 것으로 만약 거칠기 값이 Ra0.025로 지정된 부품이라면 초정밀 다듬질 면을 얻을 수 있습니다.
(6) 표면 거칠기 표기법 및 가공방법
신기호인 표면 거칠기와 구기호인 다듬질 기호(삼각 기호)에 따른 가공 정밀도와 일반적인 가공방법 및 적용부위에 따른 사항을 정리하였습니다. 조립도면을 나름대로 분석하여 어떠한 기계가공을 해야 할지 판단하여 표면거칠기 기호를 적용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공작기계와 절삭가공법, 그리고 후처리(도금 및 도장)나 열처리 등에 관련해서도 실무적인 지식을 쌓아 두어야 합니다.
(7) 표면거칠기 기호 비교 분석
'품질실무 > (운영)공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끼워맞춤 (0) | 2022.04.22 |
---|---|
기하공차의 종류 및 도시 (0) | 2022.04.22 |
투상법과 도형의 표시방법 (0) | 2022.04.21 |
관리자의 세 가지 입장과 행동 (0) | 2022.04.19 |
계수조정형 샘플링 검사 ( KS A 3109 ) (0) | 2022.04.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