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표관리 정의
종업원에게 업무목표만을 지시하고 그 달성방법은 종업원에게 맡기는 관리방법.
한걸음 더 나아가 목표 설정까지도 종업원에게 맡기는 경우도 있다. 어느 경우
이건 관리자는 명령하지 않고 종업원의 자주적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주어 종업원
상호간의 조정을 하게 한다. 조직의 거대화에 따른 종업원의 무기력화를 방지하고
근로의욕을 향상시키는 관리방법이다.
품질목표 작성요령
1. 목적(목표설정이유)
1.1 왜 그 목표를 설정했는가의 이유를 기입한다.
1.2 품질방침과의 연관을 분명히 한다.
2. 목표항목
2.1 품질방침에서 블레이크다운된 것
2.2 역활목표에서 생각할 것
2.3 목표의 수에 제한의 없다.
3. 중요도
3.1 중요도란 우선순위와 힘의 배분을 말한다.
3.2 목표의 수에 관계없이 품질목표, 부서목표의 합계를 100%로 한다.
4. 목표치
4.1 목표치는 상반기목표와 년간목표를 설정한다.
4.2 정량목표는 수치와 계산식을 기입한다.
4.3 정성목표는 행위, 행동, 상태로 표현한다.
4.4 정성목표는 하반기말 상태조건을 3항목 이상 설정한다.
5. 목표요건
5.1 자원요건
5.1.1. 목표 달성에 필요한 사람수, 자재, 예산, 공정수 등을 산정한다.
5.1.2. 계산에 근거가 되는 기초 자료를 기록한다.
5.2. 행동요건
5.2.1. 목표달성을 성공으로 이끌기 위해 필요한 모든 행동을 사전에 생각하고 준비한다.
5.2.2. 준비, 일의 순서, 연락, 사전교섭, 확인, 주의, 유의, 조사, 관리등의 행동을 기록한다.
6. 주요 절차, 대책
6.1 주요절차를 기압한다.
6.2 성패를 결정하는 절차에는 대책, 수단을 생각해 둔다.
6.3 사전에 예측할 수 있는 장해에 대해서 예방처치, 긴급처치를 강구해 둔다.
7. 담당
7.1 주요 절차마다 담당을 정하고 책임소재를 명확히 한다.
7.2 부하에게 시켜도 좋다.
8. 납기
8.1 목표항목별 최종 납기를 설정한다.
8.2 주요절차마다 기일을 설정한다.
8.3 절차별 진행관리를 실시한다.
9. 일정
9.1 절차의 일정(월단위)을 막대 그래프로 표시
'품질실무 >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품질경영 문서실적 관리대장 (0) | 2023.07.06 |
---|---|
리스크 식별방법 및 등록 (0) | 2022.06.03 |
경영활동 상의 리스크 예시 (0) | 2022.06.03 |
위험성평가 절차서 (리스크 특성요인도 및 FMEA 작성방법) (0) | 2022.06.03 |
품질관리 목표 KPI 항목 사례 수입검사 생산기술 (0) | 2022.04.29 |
댓글